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이용했을 고속열차 ‘KTX’가 1일 개통 20주년을 맞았다. The nation's bullet train Korea Train eXpress (KTX) on April 1 marked the 20th anniversary of its launch as a form of transportation that nearly every citizen has used once.
KTX 이용객은 지난해 8월 말 기준 10억 명을 돌파했다. 한국의 전체 인구 중 한 사람당 20번 넘게 탄 셈이다. 전국을 2시간대로 연결하면서 시민의 일상과 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꿔놨다.
The number of passengers on the KTX in late August last year surpassed the billion mark, or equal to over 20 rides per every member of the national population. By enabling travel to every corner of the country within two hours, the KTX has dramatically transformed daily life and culture for the public.
한국 최초의 고속열차가 도입된 것은 지난 2004년.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의 개통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도로망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서였다. The country's first high-speed train was launched in 2004 to more evenly distribute surging demand for roads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bu Expressway in the 1970s.
KTX는 이에 발맞춰 진화를 거듭했다. 처음에 운행된 KTX는 프랑스 알스톰사의 기술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이후 국내 전문가가 KTX 제작에 참여하면서 기술력을 높여갔다. 그렇게 해서 지난 2008년 11월 탄생한 것이 한국형 고속철도 KTX-산천이다. 한국이 세계에서 네 번째로 고속열차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국가가 되는 순간이었다. 2021년 1월엔 전혀 새로운 동력방식의 KTX-이음도 선보였다. 그리고 지난 1일, 최고 운행속도가 시속 320㎞에 이르는 차세대 친환경 고속열차 KTX-청룡도 등장했다.
Under continuous evolution, the KTX had its first train use the technology of French rolling stock maker Alstom. Later, domestic scientists helped develop the train and raise its technological capacity, leading to the debut of the domestically developed KTX-Sancheon in November 2008.
This made Korea just the fourth country to independently manufacture a high-speed train. January 2021 saw the release of KTX-Eum, a new propulsion system for the bullet train, followed by the release on April 1 this year of the next-generation eco-friendly model KTX Cheong-ryong, whose top speed is 320 km per hour.
▲ 사진은 정비를 마친 후 출고 대기 중인 KTX와 KTX-산천. KTX and KTX-Sancheon trains await delivery after maintenance.
기술 축적과 함께 KTX 운행 지역도 확대됐다. 처음 경부·호남선 2개 노선, 20개 정차역에서 이제는 강릉·중앙·중부내륙선까지 8개 노선, 69개 역에 정차한다. 하루 운행 횟수도 기존의 142회에서 381회로, 운영 편성은 46편성(828칸)에서 103편성(1414칸)으로 각각 확대됐다.
Technological advances have expanded the operating area of the KTX. The bullet train first provided service on the Gyeongbu Line connecting Seoul and Busan and the Honam Line between Seoul and Gwangju and Mokpo with a combined 20 stops.
The KTX now covers eight lines including Gangneung, Jungang (Central) and Naeryuk (Central Inland) with 69 stations. The daily number of trips has jumped from 142 to 381 and the number of trains has expanded from 46 (828 cars) to 103 (1,414).
지난 2012년 11월, 이름을 새롭게 바꾼 ‘코레일톡(KORAIL Talk)’이 등장하면서 실물 승차권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됐다. 2023년 기준, ‘코레일톡’으로 발권한 승차권은 전체 발권율의 86% 이상을 차지했다.
November 2012 saw the debut of Korail Talk, the renamed app of the Korea Railroad Corp. (Korail) that allowed digital ticketing. As of last year, tickets made through the app comprised over 86% of all issued.
운행 거리도 지난해 현재 6.3억㎞나 됐다. 지구를 15700바퀴를 돈 것과 맞먹는다. KTX 승객 누적 이동거리는 2586억㎞로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1724배에 달한다.
As of last year, KTX trains had covered a combined 630 million km, or enough to circle Earth 15,700 time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bullet train's passengers was 258.6 billion km, or 1,724 times the distance between Earth and the sun.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지난 2004년 4월 1일, KTX가 첫 기적을 울린 이후 14일 만에 이용객 수는 단번에 100만명을 돌파했다. 3개월 걸린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고속철도나 16일 걸린 일본 신칸센보다 빠른 기록이다. 지난해 하루 평균 이용객은 22만 9천여 명. 개통 첫 해인 2004년 7만 2천명에 비해 3배 이상 승객이 늘었다.
Korail said the number of KTX passengers surpassed a million just 14 days after the first whistle blew on April 1, 2004, to launch KTX's inaugural operation. This was faster than high-speed trains in Europe such as those in France and Spain (three months) and Japan's Shinkansen (16 days). Last year, the average daily number of KTX users was 229,000, more than triple the 72,000 in its first year.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디지털 기반의 혁신과 핵심 인재 양성으로 미래 이동수단을 선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며 “KTX를 이용하는 외국인이 많아 정보무늬(QR)예매와 항공 연계 서비스 등을 확대하고 있다”며 많은 관심을 부탁했다.
"We will strive to lead the future of transportation through digit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key human resources," Korail President and CEO Han Moon-Hee said. "Since many foreign visitors use the KTX, we ask for your interest as we expand services such as QR code ticketing and links with air travel."
외국인도 편리하게 이용하는 KTX - Tips for foreign users of KTX
- 한국을 방문한 외국 여행객이라면 ‘코레일패스’(KORAIL PASS)를 이용하는 걸 추천한다. 외국인 전용 철도 패스로 레츠코레일 다국어(영중일 3개 언어) 누리집(https://www.letskorail.com/ebizbf/EbizbfForeign_pr16100.do?gubun=1)이나 지정된 구입처(역사 내 여행센터 및 코레일 지정 판매 대행 여행사)에서 구매할 수 있다. SRT와 임시관광열차를 제외한 KTX 일반실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고 하루 최대 2회까지 좌석 지정이 가능하다.
- Foreign travelers riding the KTX should use the Korail Pass, which is exclusively for foreign nationals and available on the multilingual website Let's Korail (https://www.letskorail.com/ebizbf/EbizbfForeign_pr16100.do?gubun=1) or at designated outlets like travel centers at stations and Korail-designated travel agencies. With the exception of Super Rapid Train and temporary tourist trains, the pass allows unlimited access to standard seats on the KTX, with the option to reserve seats up to twice a day.
-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의 경우, 온라인 플랫폼 ‘알리페이’와 ‘위챗’ 모바일 앱에서 코레일 승차권 예매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열차 조회부터 좌석선택, 결제, 승차권 확인까지 모두 할 수 있다.
- Chinese tourists can utilize Korail's ticket reservation service through online platforms such as Alipay and the mobile app of WeChat. Such platforms can handle everything from train information to seat selection, payment and ticket confirmation.
- 코레일톡’ 앱 이용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외국인 예매 정보무늬(QR)코드”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레츠코레일 다국어 누리집에 바로 연결된다. QR코드는 주로 외국인 여행객이 많은 서울과 부산 등 50개 주요 역 매표 창구나 자동발매기 주변에 배치돼 있다. 또한 레츠코레일 다국어 누리집에서는 해외 발행 신용카드로도 간편하게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다.
- Foreign users need not worry over difficulties using Korail Talk. Use of the expat reservation QR code feature directly links to the Let's Korail website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app. Such codes are mainly deployed around ticket counters and automated ticket machines at 50 major stations frequented by foreign travelers such as in Seoul and Busan. Moreover, the website allows easy ticket purchase using foreign credit cards.
오금화, 이경미 기자 jane0614@korea.kr
사진 = 한국철도공사
By Wu Jinhua and Lee Kyoung Mi, jane0614@korea.kr
Photos = Korea Railroad Corp.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