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_시스템랩(THE_SYSTEM LAB)을 이끄는 김찬중(Chanjoong Kim, 金贊中)은 독특한 건축 미학으로 주목받는 건축가이다. 그의 작품에는 한국 건축에서 보기 어려운 위트가 담겨 있다고 평가받는다. 2016년, 영국 라이프스타일 잡지 『월페이퍼(Wallpaper*)』가 선정한 ‘세계의 떠오르는 건축가 20인’에 선정된 바 있다.
Chanjoong Kim, principal architect of THE_SYSTEM LAB, is known for his aesthetic designs, which have been described as demonstrating a sense of wit rarely seen in conven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2016, Kim’s company was featured in the Wallpaper* Architects’ Directory as one of 20 emerging architectural firms.
더_시스템랩의 김찬중 대표는 ‘합리적인 혁신’을 통해 건축의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는 건축가이다. 그는 그 어느 때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른 오늘날, 건축이 시대의 흐름에 반응할 수 있는 유기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Chanjoong Kim, principal architect and founder of THE_SYSTEM LAB, presents new architectural ideas. He believes that today’s rapidly evolving architecture should become an “organism” that changes with time. ⓒ 이강석(Gangseok Lee)
“ 형태는 기능을 따릅니다.” 김찬중에게 자신의 철학을 물었더니 돌아온 대답이다. 미국의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의 경구(警句)라 진부하게 들릴 거라는 말투였지만, 표정은 단호했다. “너무 고전적인 얘기라 식상하겠지만, 저희 작업에 사용된 모든 곡선과 유기적 형태들은 제각각 고유한 기능을 가집니다.”
When asked about his professional philosophy, architect Chanjoong Kim replied that in his view, “Form follows function.” His tone of voice suggested that he was aware that American architect Louis Sullivan’s famous maxim might sound like a platitude, but his face looked resolute. “I know it’s such a classic idea that it might seem cliché, but all the curves and organic forms used in our architecture have their own functions.”
건축가는 예술가가 아니기에, 기능에 맞추고 해법을 찾아야 한다. 미적 탐닉보다 건축 방식을 먼저 따지는 게 숙명이다.
Architects aren’t considered artists as such; their designs must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and seek practical solutions, rather than overindulge in aesthetics. They must always consider the architectural methods first.
머큐어 앰배서더 서울 홍대(Mercure Ambassador Seoul Hongdae)는 대로변에 면하는 부분에 투과성 차폐막이 설치되었다. 이는 도로의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심미적 측면에서 개성 있는 실루엣을 만들어 냈다. The façade of the Mercure Ambassador Seoul Hongdae hotel features a translucent screen to shield rooms from the main road and a special silhouette. ⓒ 김용관(Kim Yong-kwan, 金用官)
기능을 고려한 디자인 - FUNCTIONAL DESIGN
서울 강서구 마곡동(麻谷洞)의 삼진제약 연구센터(2021)는 살짝 불어든 바람에 팔랑 들린 커튼 자락을 닮은 건물이다. 각종 실험이 진행되는 연구소는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는 공간이다. 그렇다고 연구원들이 종일 연구에만 몰두할 수는 없다. 가끔 기지개 켜고 창밖도 내다봐야 숨통이 틘다. 펄럭이는 듯한 입면(facade)은 이런 점을 고려하되, 오후 햇빛이 눈을 찌르는 서향 건물의 난제를 풀 해법이었다.
Located in Seoul’s Magok-dong, the Samjin Pharm Research Center, built in 2021, resembles the folds of a curtain, evoking the graceful movement of fabric caught in a gentle breeze. Research centers are spaces where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is required, and yet researchers cannot work all day long without taking a break to stretch their legs or look out the window. Hence, the wavy façade was seen both as a boon to the employees’ well-being and a solution to the challenge of a west-facing building that received too much afternoon sunlight.
건축가는 연구원들의 개인 책상을 가장자리에 두고, 공동 업무 공간인 실험실은 중앙부에 배치하도록 설계했다. 개별 공간에서는 집중력 있게 자기 연구에 빠져들고, 실험실에서는 트인 생각으로 머리를 맞대는 구조다. 그는 창가에 놓인 책상으로 햇빛이 너무 세게 들이쳐도, 외부와 단절된 채 꽉 막혀 있어도 안 된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빛을 막으면서도 도시와의 관계는 열어 두기 위해 벽을 들어 올렸다. 얇은 천 느낌의 곡면 외벽은 80mm 두께의 초고강도 콘크리트(UHPC,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로 제작했다. 형태는 부드러워 보이지만, 강도는 일반 콘크리트를 압도한다.
Kim lined the walls with the researchers’ desks and placed their lab in the center. This allows them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work in individual spaces and then come together to exchange ideas. The architect raised the wall to limit excessive sunlight without isolating the researchers from the city outside. Reminiscent of a thin fabric, the curved wall was made with 80-mm thick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Though it appears soft, its strength exceeds that of regular concrete.
“외벽 콘크리트 패널을 곡면으로 만들어 직사광선은 가리고, 살짝 열린 틈으로 간접 광이 들어올 수 있게 했습니다. 책상에 앉아서 곡면의 열린 틈으로 도시를 내다볼 수도 있어요. 직사광선과 무관한 북향이었다면 이런 시도를 안 했을 겁니다. 모든 것들은 기능과 연관된 선택입니다.”
“The exterior concrete panel was shaped into a curved surface to keep out direct sunlight but also invite in some indirect rays through the cracks. Sitting at your desk, you can look out through them at the urban landscape. If the building were facing north, direct sunlight would be irrelevant and I wouldn’t have chosen this design. All my decisions were related to functionality.”
한 블록 옆에 위치한 IT 기업 엑셈 마곡연구소(2022)도 이들이 맡은 프로젝트였는데, 마찬가지로 서향이다. 외벽에 특수 알루미늄 차광판을 45도 기울인 상태로 줄지어 붙였다. 삼진제약 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오후 서쪽 하늘의 강한 빛을 차단하고 반사된 빛이 부드럽게 내부로 흘러들게 하는 역할이다. 그는 모니터와 스크린을 중심으로 일하는 IT 회사의 특성을 고려해 균질한 실내 빛 환경에 신경 썼다. 외부 차광판과 유리 벽 사이는 직원들이 바깥 공기를 쐴 수 있는 발코니형 쉼터로 조성했다.
Down the block from the research center stands another of Kim’s projects: the headquarters of IT company EXEM. The exterior wall of the west-facing building, completed in 2022, is lined with special aluminum sunshades tilted at a 45-degree angle. Just like with the Samjin Pharm Research Center, the idea was to block the strong afternoon sunlight and let the reflected light flow softly into the building. Kim was meticulous about the uniformity of the interior light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T staff working in front of monitors and screens.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sunshades and glass walls was turned into a balcony-like rest area, allowing them to enjoy fresh air.
실험적 시도 - EXPERIMENTAL EXPLORATION
‘어금니 빌딩’이라 불린 폴 스미스 플래그십 스토어(2011)는 바닥 면적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공간에 대한 의뢰인의 요구를 모두 담다 보니, 머핀처럼 위쪽이 부풀었다. 가우디의 작품 카사 밀라(Casa Mila)와 닮았단 소리를 듣는 한남동 오피스 빌딩(2014)은 구불구불한 외벽에 곡선형 창을 내고 발코니를 만들었다. 발코니는 실내 공간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피로감을 줄여 주는 역할을 맡는다.
Kim’s designs are often experimen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unction. The Paul Smith flagship store, constructed in 2011, is nicknamed the “Molar Building” due to its resemblance to a molar tooth. Despite the limited floor space, the store in Seoul’s wealthy Gangnam District accommodated all the client’s demands, resulting in an inflated top resembling a muffin. The Hannam Office building in Seoul’s eponymous neighborhood bears a resemblance to Gaudi’s Casa Milà in Barcelona, with curved windows and balconies on its undulating exterior. These balconies serve to reduce fatigue for those working indoors
강남구 도산공원 바로 앞에 위치한 폴 스미스 플래그십 스토어는 고급 브랜드 매장이 밀집된 주변 환경 속에서 해당 브랜드를 일반인들에게 어떻게 인지시킬 것인지 고민한 끝에 탄생했다. 그 결과 보는 사람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해석이 가능한 건물이 되었다. 현재는 헤리티크뉴욕(HERITIQUE NewYork) 매장으로 사용된다. The Paul Smith flagship store in front of Dosan Park in Gangnam was d after long contemplation over how to ensure passersby could recognize the brand in a neighborhood crowded with high-end brand stores. It is currently home to a HERITIQUE NEWYORK store. ⓒ 김용관(Kim Yong-kwan, 金用官)
삐죽하게 솟은 송파구 오금로(梧琴路)의 다세대 주택 다락다락(DARAK DARAK, 2016)은 건축물의 면적과 층수에서 제외되는 다락의 특성을 이용해 연면적과 높이를 확대했으며, 녹과 얼룩에 강해 오랫동안 깨끗하게 쓸 수 있는 컬러 강판을 사용한 덕에 눈에 띄는 건물이 됐다. 까다로운 조건과 제약이 김찬중에게는 실험적 시도의 원천이 됐다.
Located on Ogeum-ro in Seoul’s Songpa District, Darak Darak (2016) is a multi-family housing complex with a pointed roof. It utilizes attic space, otherwise excluded from a building’s measurements, in order to expand floor area and height, and stands out for its use of color-coated, rust- and stain-resistant steel plates that ensure a long-lasting clean look. Kim explains that challenging conditions and constraints serve as sources of experimental exploration.
“새로운 소재에 관심이 많습니다. 형태나 물성이 바뀌면 사람들의 접근이 달라져요. 다가와 두드려 보고 만져 봅니다. ‘스머프집 같다’, ‘문어 빨판 같다’는 식으로 별명도 지어 부릅니다. 이처럼 각자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투영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건물이 되기를 바랍니다. 좋은 건축이란 호기심을 자극하는 건물, 그리하여 사람들의 창의성을 북돋우고 건조한 도시에 활력도 불어넣는 것이라 믿거든요.”
“I’m keenly interested in new materials. Changes in form or properties alter a structure’s accessibility. People come closer and then touch and feel the buildings. They give them nicknames like ‘Smurfs’ house’ or ‘octopus suction cup.’ I hope that people will be able to project their experience and ideas onto these buildings, stimulating discussion. I believe that good architecture is all about exciting curiosity and encouraging people’s creativity while infusing an otherwise dull city with energy.”
부산 구도심에 위치한 PLACE 1 BUSAN은 하나은행 빌딩을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이다. 건축가는 바빌론 시대의 공중 정원에서 모티브를 얻어 건물 상층부를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했다. For PLACE 1 BUSAN, a remodeling of the Hana Bank building in the city’s old downtown area, the architect took motifs from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and added terraced upper floors. ⓒ 유청오(Cheong O Yu)
자연과 어우러진 건축물 - IN HARMONY WITH NATURE
코오롱그룹의 의뢰로 울릉도에 지은 코스모스 리조트(2017)는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건축 같지 않은 건축에 대한 도전이었다. 바다 위 절벽에 놓인 이 호텔은 건물이라기보다는 한 점의 오브제다.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The Birth of Venus)>이 연상되는 이 건물은 비너스를 실어 온 조개껍질처럼 희고 단아한 모습이다. 위에서 내려다본 형태는 봉오리 벌어지는 꽃잎 같고, 옆에서 본 곡선은 넘실대는 파도를 닮았다. 2015년 리조트 설계를 의뢰받은 김찬중은 예닐곱 시간 뱃길을 따라 울릉도로 들어갔다. 섬에 밤이 내리자 별과 하늘의 움직임이 보였고, 해가 뜨자 파도와 바람 소리가 들렸다. 천문기상대에 자료를 요청해 해와 달의 궤적을 받았고, 자연이 그린 포물선에서 건물의 곡선들을 추출했다. 건축물의 모든 부분이 자연을 닮은 이유다.
Commissioned by the KOLON Group and built on Ulleung Island in 2017, the KOSMOS resort posed a challenge in creating architecture that did not disrupt nature. Perched on a cliff above the sea, it is more of an art than a building. Reminiscent of Botticelli’s The Birth of Venus, the structure resembles a delicate white seashell. Viewed from above, it unfolds like a flower, while from the side, its curves bring to mind surging waves. In 2015, when tasked with designing the resort, Kim followed the sea route to Ulleung Island, a six-to-seven-hour journey. As night fell on the island, the movements of the stars and sky became apparent, and as the sun rose, the sounds of the wind and waves echoed. Using data from an astronomical observatory, Kim extracted the curves of the building from the natural parabolas of celestial bodies. In this way, every part of his design came to resemble nature.
“수만 년 동안 추산(錐山)을 중심으로 형성된 울릉도의 자연에 인위적인 표현을 더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밖에서건 안에서건 건물처럼 보이지 않으면서 주변 풍광의 아름다움을 담길 바랐거든요.”
“For tens of thousands of years, Ulleung Island has been shaped around Mt. Chu, and I didn’t want to add anything artificial. I hoped the resort wouldn’t look like a building, neither from the outside nor the inside, but would instead encapsulate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코스모스(KOSMOS) 리조트는 원시적인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울릉도에 위치한다. 건축가는 대지에 건축물을 설계하기보다는 자연을 담는 그릇을 만들고자 했다. 또한 그는 이곳이 별들의 궤적을 관조하는 일종의 천체 관측 도구가 되기를 희망했다. Located on Ulleung Island, the tranquil KOSMOS resort is surrounded by pristine, well-preserved nature. Kim wanted to a structure that looks like a vessel floating in nature rather than one sitting on land. He also hoped that it would serve as a pleasant viewpoint for stargazing. ⓒ 김용관(Kim Yong-kwan, 金用官)살포시 자연을 파고든 건축물이니 육중해서는 안 된다. 날렵하고 가벼우면서도 외벽의 단단함을 갖추고, 염분 많은 바다의 풍파를 견딜 수 있는 소재가 필요했다. 토목에 주로 사용되던 UHPC를 건물 전체에 적용하기로 했다. 누구도 한 적 없는 시도다. 일반 콘크리트는 30cm 두께지만, 12cm로 얇게 만드는 게 가능했다. 강도는 다섯 배나 더 세다. 극한 조건을 충족할 콘크리트를 제작해 울릉도까지 실어 나르는 게 문제였다. 거푸집으로 현장 타설(打設)을 시도했고, 성공했다. 그 또한 세계 최초였다. 그렇게 탄생한 유기적 형태는 자연이 낳은 것처럼 어우러졌다.
Thanks to the delicate way in which it blends in with nature, the building has an organic quality. It was crucial for it to be agile and lightweight, yet sturdy enough to withstand stormy weather and salty sea air. Kim made an unprecedented decision to use UHPC, primarily a material in civil engineering, throughout the building. While conventional concrete is 30 cm thick, Kim’s team successfully developed 12-cm thick UHPC with five times the strength. The greater challenge was transporting the concrete to Ulleung Island. They made a successful attempt at casting on site with scaffolding instead — another world first.
그의 어머니는 화가다. 어머니는 누드 크로키로 종종 전시회를 열었다. 인체 곡선이 갖는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 손재주와 눈썰미 등의 감각은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듯하다. 아버지는 그가 효율적인 실용주의자로 성장하게끔 자극을 주었다. 기능주의자면서도, 예술가 못지않게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건축가가 된 배경이다.
Kim’s mother is a painter who often held exhibitions featuring nude sketches. She passed down to him an understanding of the beauty of organic curves, along with a keen eye and a sense of craftsmanship, while his father encouraged him to become an efficient pragmatist. In his work, Kim embraces both, incorporating the imagination of an artist into the role of a functionalist.
미래를 위한 건축 - ARCHITECTURE FOR THE FUTURE
“건축은 오래된 산업 중 하나입니다. 세상의 변화가 느릿하던 옛날과 달리 지금은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우리가 땅을 확보해 설계하고 짓기까지 짧게는 3년, 길게는 5년까지 걸리는데, 그 사이 기술과 트렌드, 건물의 역할까지도 급속히 바뀌거든요. 건축가로서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고민이 숙제입니다.”
“Architecture is a time-honored profession bu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ow happening more rapidly than ever. It takes us three to five years from securing the land to completing our projects, and during that time, technology, trends, and even the role of buildings change. As an architect, contemplating how we will live in the future is our homework,” Kim says.
성수동 연무장길에 자리하고 있는 우란(友蘭)문화재단은 지역적 맥락에 흡수될 수 있도록 설계된 건축물이다. 주변에 위치한 소규모 공방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작은 덩어리들이 집합을 이룬 듯한 형태로 디자인됐다. Situated on Seongsudong’s Yeonmujang-gil, the Wooran Foundation building was designed to fit in with existing structures. It appears as a collection of small 3D shapes that harmonize with the workshops nearby. ⓒ 김용관(Kim Yong-kwan, 金用官)
건물의 형태적 혁신은 기능의 변화를 반영한다. 김찬중의 신작들은 이제 지역성과 공동체, 역사를 파고든다. 그는 2021년 울산광역시 울주군(蔚州郡) 외고산(外高山) 옹기마을의 쇠락한 구도심 재생 프로젝트를 맡았다. 외고산 옹기마을은 전통 옹기의 제조 기술과 미학을 지켜가고 있는 곳으로, 전국에서 생산되는 옹기의 50퍼센트 이상이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그는 카페와 맛집으로 주말만 북적이는 명소가 아닌, 젊은 사람들이 일하며 생활하는 정주형 오피스를 통해 진정한 지역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고대한다.
Formal innovation in buildings reflects changes in function. Kim’s recent works delve into locality, community, and history. In 2021, he took on the redevelopment of the dilapidated center of Oegosan Onggi Village in Ulju County. The village preserves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aesthetics of onggi, earthenware used as food storage and tableware, generating more than 50% of the nation’s output. Kim aims for true local revitalization, creating spaces where young people work and live, rather than just cafés and restaurants that are bustling on weekends.
지난해에는 서울시의 의뢰로 재단법인 아름지기와 함께 종로구 옥인동(玉仁洞) ‘윤씨 가옥’의 리모델링을 맡았다. 이 집은 대한제국(1897~1910) 시대 친일파 관료였던 윤덕영(尹德榮)이 자신의 소실을 위해 지은 한옥이다. 당대 최고로 화려했던 집이었지만, 권력의 몰락과 함께 빈집으로 쇠락해 방치돼 있었다. 그는 내년 상반기 공개를 목표로, 이곳을 시민들을 위해 열린 공간으로 바꿔 놓을 계획이다. 그는 미래를 짓는다.
Last yea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missioned Kim and Arumjigi Culture Keepers Foundation to remodel “Yun’s House” in Ogin-dong. Yun Deok-yeong (1873–1940), a notorious pro-Japanese collaborator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built it for his lover. It was the most magnificent house of its time but fell into disrepair and neglect after the end of the occupation. Kim plans to transform it into a community space for citizens, set to open in the first half of 2025. This is just another example of how Chanjoong Kim is building the future.
조상인(Cho Sang In, 趙祥仁) 아트 저널리스트
Cho Sang In Art Journalist
0 comments: